차례는 지역마다 집집마다 다다르기 때문에
어느 방법이 옳다고 하기 어렵다.
집안 대대로 내려오는대로 방법을 따르는게 좋다.
준비한 음식에 따라서 달라질 수밖에
없으므로 일괄적으로 말하기 어렵다.
보통 5열로 상을 차린다.
1열은 식사류인밥, 국
2열은 제사상의 주요리가 되는 구이, 전
3열에는 그다음 될만한 부요리인 탕 등이 올라가고
4열은 나물, 김치, 포 등 밑반찬류
5열에는 과일과 과자 등 후식에 해당하는것이 올라간다.
※제사상 차리는 것에 관련된 격언들
- 홍동백서 : 붉은 색의 과일은 동쪽에 놓고, 흰색의 과일은 서쪽에 놓는다.
- 동두서미 : 머리를 동쪽에 향하고, 꼬리는 서쪽을 향한다.
- 동조서율 : 대추는 동쪽이고, 밤은 서쪽에 놓는다.
- 어동육서 : 생선은 동쪽에, 고기는 서쪽에 놓는다.
- 숙서생동 : 익힌 나물은 서쪽이고, 생김치는 동쪽에 놓는다.
- 배복방향 : 닭구이나 생선포는 등이 위로 향한다.
- 면서병동 : 국수는 서쪽에, 떡은 동쪽에 놓는다.
- 적접거중 : 구이(적)는 중앙에 놓는다.
- 반서갱동 : 밥(메)는 서쪽이고, 국(갱)은 동쪽이다. (죽은 사람은 산 사람과 반대)
- 서포동해(혜) : 포는 서쪽이고, 생선젓과 식혜는 동쪽에 놓는다.
- 시접거중 : 수저를 담은 그릇은 신위의 앞 중앙에 놓는다.
- 고비합설 : 내외분일 경우 남자조상과 여자조상은 함께 차린다.
너무 얽매이는 것보다 참고사항으로만
알아두고, 너무 스트레스 받지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