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말도 안되는 그 당시 아름다움을 향한 인간의 끝없는 욕심

비소로 만든 옷과 벽지

오래전부터 영국사람들은 초록색을 축복의 의미로 여겼다

자연의 초록을 흉내내고 싶어했지만

인공으로 만든 녹청은 쉽게 변색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던중 1775년 스웨덴 화학자 카를빌헬름 셸레가

수많은 원소와 화합물을 발견했고

이름을 따서 '셸레 그린'이라고 불렀다.

셸레 그린에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는데

독극물인 비소 성분이 들어 있었다.

비소는 살충제나 농약 등의 원료로 쓰이는 강력한

독성물질이다.

벽지, 옷, 크레파스 등 심지어는 식용 색소로도 사용되어

결국 대형 참사로 이어졌다.

파티에서 죽은 여성의 옷도 셸레 그린 드레스였고,

집에서 죽은 남자의 경우 집 내부가

셸레 그린이 함유된 초록색 벽지, 아이가 사용한

크레파스도 셸레 그린색 크레파스였다.








코르셋

16~18세기에 여성의 복장을 지배했던 후크 스커트의

유행으로 생긴 코르이다.

미의 조건으로 풍만한 엉덩이와 잘록한 허리를 강조하여

꼭 졸라매어 가늘어진 허리, 그 아래로는 이와 대조적으로

넓게 퍼진 스커트라는 구성의 이 복장은

고래뼈, 강철 등을 심으로 넓은 뻣뻣한 천으로

허리부분의 모양을 내는 일종의 특수한 속옷을 탄생시켰는데

여성들은 이를 만족하기 위해 몸의 변화를 줄 정도로

강한 코르셋을 착용했다.

무리하게 착용하다가 갈비뼈가 부러지거나 장기에

손상을 주어 죽는 경우도 있었다.




전족

중국의 풍습으로 여자아이의 발을 일정크기 이상

자라지 못하도록 하는것이다.

전족은 송나라 때 시작되어 명,청 시대에 유행했다.

약 10cm의 발이 가장 이상적인 발의 모습이었다.

정상적으로 자라지 못한 발은 뼈가 부러지거나

근육이 오그라들어 지금 우리가 보기에 흉측한 모습이고

피가 통하지 않아 목숨을 잃는 경우도 있었다.

전족은 사실 여성을 안방에 가두어 놓고

남성의 성욕구를 채우려는 목적에 시작된 것이라

전족을 하지 않은 여성들은 미인 축에 끼지도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결혼조차 하기 힘들었다.




오하구로(검은 치아)

아마존 일대의 카리브해 연안에는 옛부터 성인의

표상으로 이를 검게 물들이는 풍습이 있었다.

이는 적과 맹수로부터 자신들의 용맹성을 과시하기 위한

문화로 풀이되는데....

일본에서도 17세기 이후 기존의 상류사회에서만

행해지던 오하구로가 점점 서민사회로까지 확산되었다.

근대 말엽까지 기혼여성의 표상으로

 윗니를 검게 물들였다.

당시에는 여성의 치아가 하얗게 보이면 무서워 보인다는

말이 있어 여성들은 쇳가루와 식초를 섞어

만든 검은 액체를 치아에 발랐다.

헤에안 시대의 미인상 또한 색이 희고 얼굴은 크고

통통하고 훤하며, 눈이 가늘고 입이 작은 여성이 미인이였다.

얼굴에는 새하얀 색을 칠하고 눈썹은 전부 뽑아서

그리고 다녔으며, 어른이 되면 치아를 까맣게 물들이고

립스틱을 발랐다.




납으로 만든 화장품

한때는 하얗고 창백한 얼굴이 부의 상징으로 여겨진

시절이 있었다.

그래서 당시 여성들은 하얀 파우더를 사용했는데

납성분으로 만들어진 파우더가 유행해

피부가 마비되거나 녹아내리는 

고통스러운 증상들을 보였는데..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로 1916년에 상표등록하여

판매한 화장품 '박가분'은 공산품으로서 제작판매된

한국 최초의 화장품이다.

하루에 1만갑 이상을 파는 기업체가 되었지만

1930년 이후로 납성분이 몸에 좋지 않다고 소문이 돌아

박가분을 사용하다가 얼굴을 망쳤다고 고소하는 사태까지

벌여졌고, 판매자 박승직도 화장품 남용하여

납중독에 걸리면 피부가 괴사한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1937년 박가분은 단종되었다.




벨라도

과거 이탈리아 여성들은 동공을 확대시키기 위해

벨라도나라는 식물을 눈에 넣었다.

벨라도나의 식물은 '아름다운 부인' 이라는 뜻으로

아트로핀 성분이 있어  중추신경을 자극하고

심장박동을 가속화하며 경련을 일으키며 입술을 바싹 마르게 한다.

벨라도나는 잎은 진통제로 사용하며, 

열매는 조금만 먹어도 죽을 수 있다.

그렇지만 그 당시 즙을 내어 눈에 계속넣어

독 때문에 죽은 여자들도 많다.